건국대 대학원, 고용관계학과 등 신설 2022학년도 후기 신입생 모집

사회


사회

건국대 대학원, 고용관계학과 등 신설 2022학년도 후기 신입생 모집

M 송기자 0 6,569 2022.04.19 08:54

건국대 대학원, 고용관계학과 등 신설 2022학년도 후기 신입생 모집

50b4f3e8085cd8786d9eaef36f53c53c_1650326056_8765.jpg
 

출처: 건국대학교

2022-04-18 16:53



2022년 04월 18일 -- 건국대학교 대학원(원장 이중복)은 4월 26일까지 2022학년도 후기 석·박사 신입생을 모집한다고 18일 밝혔다. 경영전문대학원(MBA), 건축전문대학원 등 전문대학원과 야간과정 특수대학원도 대학원별로 후기 신입생 모집 일정을 확정했다.

 

서울 캠퍼스 일반대학원은 △석사과정 75개 학과(부) △7개 학과 간 협동과정 △박사과정 71개 학과(부) △6개 학과 간 협동과정에서 신입생을 선발한다.


이번 후기 모집에서는 일반대학원에 고용관계학과를 신설해 직업학, 고용서비스경영학 등 세부 전공을 개설한다. 또 문화예술심리치료학과를 신설해 문화치료 전공과 예술치료 전공을 개설하고, 안보재난관리학과에는 국가안보산업보안융합 전공이 신설된다.


고용관계학과는 고용 서비스 관련 분야 전문가 및 고용컨설턴트 등 고용 분야 인재 양성을 목표로 일자리 관련 현장 실무 중심의 교육과정으로 구성됐다. 고용인적자원관리, 고용서비스인적자원개발, 조직행동의 이해, 고용노사관계, 조직문화 등 고용서비스경영 이론과 고용정책, 고용시장, 고용정보의 특성을 학습하고 한국직업상담협회와 협업해 실무형 인재로 성장할 기회를 가질 수 있다.


제출 서류 및 평가 항목, 지원학과의 문의 전화번호 등은 대학원 홈페이지에 게시된 모집 요강을 확인하면 된다. 학과의 교육과정, 활동 내용 등은 학과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.


웹사이트: http://www.konkuk.ac.kr


언론 연락처

건국대학교

홍보실

홍주승

02-450-3131~2

Comments

번호 포토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
14 문다혜, 음주운전 사고로 입건… 좌회전 시도 중 택시와 충돌 M 송기자 2024.10.07 1834
13 최악의 교통사고, 시청역 인근서 9명 사망·4명 부상 M 송기자 2024.07.02 2340
12 한국 내 조선족 커뮤니티: 다양성과 도전 M 송기자 2024.02.13 3195
11 제로웹, 고독사 해결 위한 차별화 전략 통했다… 사회안전망 플랫폼 ‘벨’ 공급 M 송기자 2024.01.31 2994
10 가천대학교 휴먼보건과학융합연구소, 당독소와 운동 간 상관관계 임상 효과 검증 M 송기자 2024.01.31 3087
9 KARP대한은퇴자협회, 회원 10명 중 8명 ‘지하철 돈 내고 타겠다’ M 송기자 2024.01.31 2986
8 신구대학교 비즈니스실무학부, 예비 지원자와 ‘교수님과 함께하는 대학 전공 체험 캠프’ 행사 개최 M 송기자 2023.09.26 3400
7 한국레노버, 위기가정 아동지원 위한 ‘나를 지켜주세요’ 캠페인 참여 M 송기자 2023.09.15 3191
열람중 건국대 대학원, 고용관계학과 등 신설 2022학년도 후기 신입생 모집 M 송기자 2022.04.19 6570
5 ‘제3회 전국다문화 가정 중도입국 청소년 한국어 말하기 대회’ 성황리 종료 M 송기자 2020.11.06 7270
4 사회연대은행-SC제일은행, 소셜벤처 온라인 판로 지원 위해 ‘청년제일프로젝트·해피빈 공감가게 기획전’ 열어 M 송기자 2020.11.06 8116
3 상명대학교 김준호 교수, 독거노인과 6.25 참전용사에게 마스크 1000매 및 쌀 기증 M 송기자 2020.11.06 8116
2 WISET 호남제주권역사업단, 한전KDN과 인턴 매칭 M 송기자 2020.11.06 7980
1 오늘 큐넷 홈페이지 서버다운 이대로 좋은가 M 송기자 2020.05.12 8769

탐사보도 기획취재 문의


032-715-7043
월-금 : 9:30 ~ 17:30
토/일/공휴일 휴무
런치타임 : 12:30 ~ 13:30

문자 제보

정치인이나 기업의 비리를 폭로. 환경오염 문제를 심층적으로 조사. 공공기관의 비효율적 운영 사례를 밝힘.

메일 제보

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